본문 바로가기
육아

수유 후 트림시키는 이유와 효과적인 방법

by 쓘엄마 2025. 3. 6.

아기를 키우면서 수유 후 트림을 꼭 시켜야 한다는 말을 많이 들어봤을 거예요.
특히 신생아는 소화 기관이 미숙하기 때문에 수유 중 삼킨 공기가 배앓이나 복통을 유발할 수 있어 트림이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트림이 잘 나오지 않거나, 트림을 안 해도 되는 경우가 있는지 궁금한 부모님들도 많을 거예요.
이번 글에서는 수유 후 트림을 꼭 해야 하는 이유, 효과적인 트림 방법, 그리고 트림이 잘 나오지 않을 때의 해결책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수유 후 트림시키는 이유와 효과적인 방법


1. 수유 후 트림이 필요한 이유

📌 아기가 수유 중 공기를 함께 삼키기 때문에 트림이 필요합니다.
신생아는 젖을 빠는 동안 공기까지 함께 삼키는 경우가 많아, 트림을 통해 배 속 공기를 배출해야 합니다.

트림을 시켜야 하는 이유

1️⃣ 공기 배출로 인해 배앓이(콜릭) 예방

  • 삼킨 공기가 배 속에 차면 복부 팽만감과 복통을 유발할 수 있음
  • 트림을 하면 장 내 공기가 줄어들어 불편함이 해소됨

2️⃣ 수유 후 역류 및 토 하는 현상 방지

  • 위에 공기가 차 있으면 젖이 역류하면서 수유 후 토할 가능성이 높아짐
  • 트림을 하면 위에서 압력이 빠져나가 역류가 줄어듦

3️⃣ 소화 촉진 효과

  • 위장이 편안해지면서 소화가 원활해지고, 가스가 차는 것을 방지

4️⃣ 숙면을 돕는 효과

  • 트림을 하지 않으면 배가 더부룩해져 잠을 자다가 깨거나 보채는 경우가 많음
  • 트림을 하면 편안한 상태에서 숙면을 취할 수 있음

부모 TIP:
특히 생후 6개월 이전에는 위와 식도 사이의 괄약근이 약하기 때문에 트림이 더욱 중요합니다.


2. 트림이 필요한 아기 vs. 필요 없는 아기

📌 모든 아기가 반드시 트림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트림이 필요한 경우

  • 수유 중 공기를 많이 삼키는 아기
  • 분유수유를 하는 아기 (젖병 사용 시 공기 흡입 가능성이 높음)
  • 빠른 속도로 수유하는 아기
  • 수유 후 자주 보채는 아기

트림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경우

  • 모유수유 시 공기를 거의 삼키지 않는 아기
  • 천천히 수유하고, 특별한 불편함을 보이지 않는 아기
  • 이미 충분히 트림을 한 상태에서 계속 시도하는 경우

부모 TIP:
아기가 트림을 하지 않아도 특별히 불편함을 보이지 않는다면 무리하게 트림을 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3. 효과적인 트림 방법 (트림이 잘 나오게 하는 자세 3가지)

📌 트림을 시킬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세’입니다.
아기의 몸을 적절한 각도로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등을 두드리거나 쓰다듬으면 트림이 쉽게 나옵니다.

🔹 1️⃣ 기본적인 트림 자세 (어깨 위 자세 –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

아기를 세워서 엄마의 어깨에 기대게 하기
✔ 한 손으로 아기의 머리와 등을 받쳐주고, 다른 손으로 등을 부드럽게 두드리기
등을 ‘톡톡’ 두드리거나, 원을 그리듯 쓰다듬기
✔ 머리가 너무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주의

이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고 효과적인 자세입니다.


🔹 2️⃣ 앉혀서 트림시키기 (앉은 자세 – 분유수유 시 추천)

✔ 아기를 세운 상태에서 무릎 위에 앉히고, 한 손으로 턱을 받쳐주기
✔ 다른 손으로 등을 부드럽게 두드리거나 쓰다듬기
아기의 등을 약간 앞으로 숙이면서 트림을 유도

이 방법은 젖병 수유 후 트림이 잘 나오지 않을 때 효과적입니다.


🔹 3️⃣ 배에 기대어 트림시키기 (엎드린 자세 – 배앓이 예방에 효과적)

✔ 아기를 부드럽게 팔 위나 허벅지 위에 엎드려 놓기
✔ 한 손으로 등을 천천히 두드리거나 쓸어주기
배를 압박하지 않도록 조심하기

이 방법은 배에 가스를 배출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4. 트림이 잘 나오지 않을 때 대처 방법

📌 트림을 시도했는데 나오지 않는다면, 몇 가지 방법을 시도해 보세요.

자세를 바꿔보기

  • 위의 3가지 자세를 번갈아 가며 시도하면 더 쉽게 트림이 나올 수 있음

트림을 시도하는 시간을 조절하기

  • 수유 후 바로 트림을 시키기보다는 1~2분 정도 기다렸다가 시도하면 더 잘 나올 수도 있음

너무 오래 두드리지 않기

  • 5분 이상 트림이 나오지 않으면 억지로 시도하지 말고, 그대로 눕혀도 괜찮음
  • 아기가 특별히 불편함을 보이지 않는다면 트림 없이 재워도 괜찮음

배 마사지를 해주기

  • 아기의 배를 부드럽게 원을 그리며 마사지하면 배 속 가스를 자연스럽게 배출하는 데 도움

5. 트림이 필요한 수유 상황별 체크리스트

📌 트림이 꼭 필요한 상황 vs. 트림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는 상황

트림이 꼭 필요한 경우
✅ 분유수유 후
✅ 빠르게 먹는 아기
✅ 배앓이 증상을 자주 보이는 아기
✅ 수유 후 자주 토하는 아기

트림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경우
✅ 모유수유 후 천천히 먹는 아기
✅ 편안한 상태로 수유하고, 불편함이 없는 경우
✅ 트림 없이도 잠을 잘 자는 아기

부모 TIP:
아기가 트림 없이도 편안하다면, 굳이 트림을 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6. 수유 후 트림을 시킬 때 주의해야 할 점

잘못된 방법으로 트림을 시키면 아기가 불편할 수 있습니다.

너무 세게 등을 두드리지 않기

  • 강하게 두드리면 오히려 역류를 유발할 수 있음

머리를 과하게 뒤로 젖히지 않기

  • 목이 불편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각도를 유지

트림이 안 나온다고 너무 오래 시도하지 않기

  • 5분 이상 시도해도 트림이 나오지 않으면, 굳이 억지로 시키지 않아도 됨

맺음말

수유 후 트림은 아기의 소화와 배앓이 예방에 도움이 되지만, 모든 아기가 꼭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아기가 공기를 많이 삼키는 경우, 트림을 시켜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트림이 나오지 않더라도 불편해하지 않으면 억지로 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적절한 트림 자세와 부드러운 두드림으로 트림을 유도하면 효과적입니다.

완벽한 부모가 되려고 하기보다는, 우리 아기의 개별적인 특성에 맞게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앞으로도 육아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계속 제공할 예정이니, 다음 글도 기대해 주세요! 💕